맨위로가기

독일 공산당 (191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공산당 (KPD)은 1919년 독일 사회민주당(SPD)에서 분리된 좌파 혁명 그룹들의 통합으로 창당되었으며, 스파르타쿠스단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쟁 반대 운동을 주도했고, 11월 혁명 이후 자유 사회주의 공화국을 주장하며 국제적 혁명을 외쳤다. 1919년 초 스파르타쿠스단 사건 진압과 지도부 살해 이후, KPD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급진파와 온건파 간의 갈등을 겪으며 코민테른에 가입했다. 1920년대 말부터는 스탈린주의 노선을 따랐고, 사회민주주의를 사회파시즘으로 규정하며 나치와의 공투를 시도했다. 1933년 나치 집권 후 불법화되어 지하 활동을 이어갔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독에서는 사회주의통일당(SED)으로, 서독에서는 재건되었으나 1956년 금지되었다. 이후 여러 후계 정당들이 등장했으며, 좌파당이 KPD의 역사적 후계자를 자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6년 해산된 정당 - 코민포름
    코민포름은 2차 대전 후 소련 주도로 유럽 공산당들의 정보 교환 및 활동 조정을 위해 설립된 국제 공산주의 조직으로, 반제국주의 투쟁 지원 및 서방 정책에 대항하는 활동을 전개했으나, 내부 갈등 심화 및 스탈린 사후 영향력 약화로 해체되었으며, 소련의 동유럽 지배 및 냉전 체제 구축에 기여했다는 평가와 권위주의적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이 있다.
  • 독일의 해산된 공산주의 정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은 1946년 독일 소련 점령 지역에서 독일 공산당과 독일 사회민주당의 강제 합병으로 창당되어 동독을 통치하며 소련식 사회주의 노선을 고수했으나 1980년대 후반 권력을 상실하고 민주사회당으로 전환되었다.
  • 1946년 해산된 정당 - 조선공산당
    조선공산당은 1919년 사회주의 사상을 접한 조선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일제강점기 동안 탄압받았으며, 광복 후 남북으로 분열되어 남조선로동당과 북조선노동당으로 개편되었다.
  • 1946년 해산된 정당 - 민주 파시스트당
    민주 파시스트당은 도메니코 레치시가 창립한 신파시즘 그룹으로, 이탈리아 파시즘의 유기적 민주주의 개념을 따랐으며, 베니토 무솔리니의 시신을 훔친 사건으로 당원들이 체포된 후 1946년에 해산되었다.
독일 공산당 (1919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독일 공산당
로마자 표기Kommunistische Partei Deutschlands
약칭KPD
설립일1919년 1월 1일
해산일1956년 8월 17일 (서독), 1946년 4월 21일 (동독)
본부베를린 카를 리프크네히트 하우스
창립자로자 룩셈부르크
카를 리프크네히트
국제 조직코민테른 (1919–1943)
기관지Die Rote Fahne
정치적 위치극좌
이념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1925년경부터)
룩셈부르크주의 (1925년경까지)
공식 색상빨강
당원 수360,000명 (1932년 11월)
국가독일
이미지
독일 공산당 로고
로고
독일 공산당 당기
당기
독일 공산당 당기 뒷면
당기 뒷면
정치적 입장 및 노선
정치 사상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민주집중제
과학적 사회주의
급진적 성향급진 좌익
주요 목표프롤레타리아 독재
반자본주의
사회민주주의
파시즘
바이마르 공화국
반 베르사유 조약
관련 조직
청년 조직독일 공산주의 청년동맹
노동 조직혁명적 노동조합 반대파
정치 학교마르크스주의 노동자 학교
준군사 조직Roter Frontkämpferbund
Parteiselbstschutz
Kampfbund gegen den Faschismus
역사적 맥락
전신스파르타쿠스 연맹
후신독일 사회주의통일당(동독), 독일 공산당 (DKP)(서독, 사실상)
합병독일 사회주의통일당(동독)
기타
국가독일
당가인터내셔널가
발음

2. 초기 역사

독일 사회민주당(SPD)과 많은 역사를 공유하는 독일 공산당은 1918년 12월 29일부터 31일까지 열린 스파르타쿠스단의 마지막 전국회의에서 창립되었다. 11월 혁명에 적극 참여했던 여러 좌파 혁명 그룹들이 스파르타쿠스단과 통합하면서, 젊은 산업노동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스파르타쿠스단은 규모와 영향력 면에서 가장 컸으므로, 당명에 괄호를 하고 스파르타쿠스단을 병기했다.

독일 공산당 깃발 뒷면


창당 대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7개의 주요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이 보고서는 스파르타쿠스단의 주요 인물들이 발표했지만, 국제 공산주의자들의 회원들도 토론에 참여했다.

리프크네히트룩셈부르크의 지도 아래 KPD는 독일에서의 혁명에 전념했으며, 임시 정부를 타도하고 혁명적 상황을 조성하려는 시도는 1919년1920년에도 계속되었다. 군주제 몰락 후 권력을 잡은 독일 SPD 지도부는 사회주의 혁명에 강력히 반대했다. 새로운 정권은 독일에서의 볼셰비키 혁명을 두려워하여, 국방장관 구스타프 노스케는 우익 군 장교들과 해체된 재향군인들을 모집하여 여러 프라이코어(Freikorps)와 반공산주의 바이마르 준군사 조직을 결성하여 모든 혁명 활동을 폭력적으로 진압했다. 1919년 1월 베를린에서 실패한 스파르타쿠스단 봉기 당시, 봉기를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시작된 후 합류했던 리프크네히트와 룩셈부르크는 프라이코어에 체포되어 살해되었다.[15]

2. 1. 스파르타쿠스단

1914년 사민당 다수파가 전쟁에 동의한 후, 로자 룩셈부르크카를 리프크네히트를 중심으로 사민당 내 좌파 반대 그룹이 결성되었다. 이 그룹은 "인터내셔널 그룹"으로 불렸으며, 프란츠 메링, 율리안 발타자르 마르흘레브스키, 에른스트 마이어, 헤르만 던커, 빌헬름 피크, 레오 요기케스, 클라라 제트킨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당내에서 전쟁에 반대하는 세력을 결집하고, 장기적으로 당의 노선을 변화시키려 했다.

"스파르타쿠스 편지"를 통해 '스파르타쿠스'로 불린 이들은 1918년 스스로를 스파르타쿠스단으로 칭했다. 1914년 12월, 카를 리프크네히트는 사민당 의원 중 처음으로 전시 채권 추가 발행에 반대했고, 1915년 오토 뤼흘레도 동참했다. 1916년에는 반대 의원 수가 20명으로 늘었다.

1917년 초, 당내 반대파 그룹은 추가 전쟁 채권에 반대하며 탈당, 독립사회민주당을 결성했다. 1916년 1월 전국적으로 조직된 스파르타쿠스단은 여기에 참여하여 독일 공산당 창립을 위한 혁명적 분파를 형성했다. 그러나 로자 룩셈부르크와 카를 리프크네히트 등 많은 당원들이 체포되면서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1917년 3월 파업과 1918년 1월 파업을 거치며 독일 노동운동은 새로운 동력을 얻었다. 전국적인 방위산업 파업은 전쟁 정책에 동의하는 보수주의자들에 대항해 노동자의 독자적 입장을 강화했다. 이후 베를린 등지에서 "혁명적 지도자"들이 평의회 운동의 주축을 형성하며 생산수단 사회화의 기회를 열었고, 러시아 10월 혁명의 성공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1918년 10월 7일, 스파르타쿠스단은 시위를 통해 자신감을 드러냈다. 5일 후 발표된 다수파 사민당의 정권 참여에 대응하여 경제, 국가, 법, 행정의 전면적 개혁과 급진 민주주의적 헌법을 요구했다. 11월 초, 에서 선원들의 반란이 일어났고, 병사들은 평의회 자치조직을 선출하여 요구를 공고히 했다. 이들의 요구사항 중 상당수는 스파르타쿠스단의 강령과 연관되었다.

11월 혁명이 베를린에 이르고 황제가 네덜란드로 망명하자, 다수파 사민당의 필립 샤이데만은 1918년 11월 9일 정오 독일민주공화국을 선포했다. 직후 카를 리프크네히트도 "자유 사회주의 공화국"을 선언하고 국제적 혁명을 주장했다. 이후 두 달 동안 다수파 사민당과 온건 보수주의 부르주아 세력이 승리하게 된다.

2. 2. 독립사회민주당과 혁명적 오프로이테

독일 사회민주당 (SPD) 다수파가 제1차 세계 대전에 동의한 후, 1914년 로자 룩셈부르크카를 리프크네히트를 중심으로 사민당 내 좌파 반대 그룹인 "인터내셔널 그룹"이 생겨났다. 이 그룹에는 프란츠 메링, 율리안 발타자르 마르흘레브스키, 에른스트 마이어, 헤르만 던커, 빌헬름 피크, 레오 요기헤스, 클라라 체트킨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전쟁에 반대하는 세력을 결집하고 당의 노선을 바꾸려 했다. 정기적인 "스파르타쿠스 편지" 때문에 "스파르타쿠스"로 불리다가 1918년 스스로를 스파르타쿠스단으로 칭하게 된다.

1914년 12월, 카를 리프크네히트는 사민당 의원 중 처음으로 전시 채권 추가 발행에 반대했고, 1915년에는 오토 뤼흘레가 뒤를 이었다. 1916년에는 반대 의원 수가 20명으로 늘었다. 1917년 초, 이들은 탈당하여 독립사회민주당을 결성했고, 1916년 1월 전국적으로 조직된 스파르타쿠스단이 여기에 참여하여 독일 공산당 창립을 위한 혁명적 분파를 형성했다. 로자 룩셈부르크와 카를 리프크네히트 등 많은 당원들이 체포되면서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1917년 3월 파업과 1918년 1월 파업을 거치며 독일 노동운동은 새로운 동력을 얻었다. 전국적인 방위산업 파업은 전쟁 정책에 동의하는 보수주의자들에 대항해 노동자의 독자적 입장을 강화했다. 이후 베를린 등지의 “혁명적 지도자”들이 평의회 운동의 주축을 형성했고, 러시아 10월 혁명의 성공은 이러한 노력에 순풍으로 작용했다.

1918년 10월 7일, 스파르타쿠스단은 시위를 통해 경제, 국가, 법, 행정의 전면적 개혁과 급진 민주주의적 헌법을 요구했다. 11월 초, 킬에서 선원들의 반란이 일어났고, 이들은 평의회 자치조직을 선출하여 스파르타쿠스단의 강령과 연관된 요구사항들을 내걸었다.

2. 3. 브레멘 좌파

1918년 11월, 브레멘 좌파(Bremer Linksradikale)는 기관지 이름을 따서 『노동자 정책(Arbeiterpolitik)』 그룹이라고도 불렸으며, "독일 국제 공산주의(Internationale Kommunisten Deutschlands (1918))(IKD)"로 개명했다.[1]

요한 크니프(Johann Knief)와 파울 프뢰리히(Paul Frölich (Kommunist))가 『노동자 정책』의 편집자를 맡았지만, 이론적 입장은 러시아의 볼셰비키 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 니콜라이 부하린, 그리고 특히 카를 라데크로부터 광범위한 지시를 받았다.[1]

카를 라데크(Karl Radek)


이 파의 영향력은 브레멘함부르크에 국한되었고,[1] 독립사회민주당에는 처음부터 참가하지 않았다.[1]

2. 4. 독일 혁명과 독일 공산당 창당

1918년 12월 29일부터 31일까지 열린 스파르타쿠스단의 마지막 전국회의 결과에 따라 독일 공산당이 창립되었다. 11월 혁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다양한 좌파 혁명그룹들이 스파르타쿠스단과 통합했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젊은 산업노동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스파르타쿠스단은 규모와 영향력 면에서 가장 큰 그룹이었기 때문에 당명에 괄호를 하고 스파르타쿠스단을 병기했다.

스파르타쿠스단은 1914년 사민당 다수파가 전쟁에 동의한 후 로자 룩셈부르크카를 리프크네히트에 의해 창립된 사민당 내 좌파 반대그룹에서 생겨났다. 이 "인터내셔널 그룹"에는 그들 외에도 7명의 사민당 당원(프란츠 메링, 율리안 발타자르 마르흘레브스키, 에른스트 마이어, 헤르만 던커, 빌헬름 피크, 레오 요기케스, 클라라 제트킨)이 더 참여했다. 그들은 당내에서 전쟁에 반대하는 세력을 결집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당의 노선을 변화시키고 다수파가 되려고 했다. 정기적인 "스파르타쿠스 편지" 때문에 그들은 그냥 스파르타쿠스로 불렸지만, 1918년 스스로를 스파르타쿠스단으로 칭하게 된다.

1914년 12월에 카를 리프크네히트는, 1915년에는 오토 뤼흘레가 사민당 의원으로는 처음으로 전시 채권 추가 발행에 반대했다. 1916년에는 그 수가 20명으로 늘어났다. 1917년 초, 늘어난 당내 반대파 그룹은 추가 전쟁 채권에 반대해 탈당하여 독립사회민주당을 결성한다. 여기에 1916년 1월 전국적으로 조직된 스파르타쿠스단이 참여하고 독일 공산당 창립을 위한 혁명적 분파를 형성한다. 로자 룩셈부르크와 카를 리프크네히트를 비롯한 많은 당원들이 체포되면서 활동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1917년 3월 파업과 좀 더 규모가 컸던 1918년 1월 파업을 거치며 독일 노동운동은 새로운 동력을 갖게 되었다. 전국적으로 발생한 방위산업 파업 운동은 전쟁 정책에 동의하는 보수주의자들에 대항해 노동자의 독자적 입장을 강화했다. 후에 베를린과 다른 곳의 “혁명적 지도자”들이 독일 최초로 생산수단 사회화의 기회를 열게 되는 평의회 운동의 주축을 형성한다. 여기에 러시아의 10월 혁명 성공은 이런 노력에 순풍으로 작용했다.

1년 후인 1918년 10월 7일, 스파르타쿠스단은 자신감을 가지고 시위를 했다. 그리고 5일 후 발표된 다수파 사민당의 정권 참여에 대한 대응으로 경제와 국가, 법, 행정의 전면적 개혁과 급진 민주주의적 헌법을 요구했다.

11월 초에는 킬에서 선원들의 반란이 불타올랐고, 거기서 병사들은 상관의 권리를 박탈하고 자기들의 요구를 공고하게 하기 위해 평의회 자치조직을 선출했다. 그들의 요구사항 중 많은 부분은 직간접적으로 스파르타쿠스단의 강령과 연관된 것들이었다.

11월 혁명이 베를린에 이르고 황제가 네덜란드로 망명했을 때, 다수파 사민당의 필립 샤이데만은 1918년 11월 9일 정오 독일민주공화국을 선포한다. 바로 뒤이어 카를 리프크네히트도 "자유 사회주의 공화국"을 선언하고 국제적 혁명을 주장했다. 이 두 흐름 간의 2달간의 전투가 이어졌고, 다수파 사민당과 온건 보수주의 부르주아가 승리하게 된다.

독일 공산당의 창건은 1918년 12월 초에 계획되었고, 1918년 12월 24일 베를린 사건의 직접적 반응으로 이루어졌다. 프리드리히 에베르트는 혁명 세력에 대항해 제국군을 보강하고 혁명 세력의 무장해제를 추구한다. 곧 좌파들은 사민당 지도부의 폭력을 경험하게 된다. 스파르타쿠스단 사람들에게 일부 지도되고 같이 혁명을 발전하려는 일부 베를린 시민에 대항해 자유 군단을 불러들인다. 1919년 초, 특히 스파르타쿠스단 사건의 진압과 칼 리브크테히트와 로자 룩셈부르크의 살해 이후에는 내전에 가까운 정치적 소요가 발생한다.

독일 공산당은 초기 경험 때문에 스스로를 사민당에 반대자로 여겼다. 그들은 원래 목적인 공산주의를 더 추구하며 이를 통해 독일 노동자에게 부르주아적 개혁주의에 대항한 혁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들은 스스로를 대중 정당으로 이해했고, 경영 수준에서 공산주의적 평의회 민주주의를 사민당이나 노조 지도자들이 방해했고, 독립사민당이 그렇게 의욕적으로 실시하지 않으려 했던 평의회 민주주의를 실현하려 노력했다.

창당 대회에서 대의원들은 지도부로 브레멘의 급진좌파 오토 뤼흘레와 독일 국제 공산주의자 요한 크니프와 파울 프뢸리히, 스파르타쿠스단의 헤르만 둔커, 케테 둔커, 후고 에버라인, 레오 요기헤스, 파울 랑에, 파울 레비, 카를 리프크네히트, 로자 룩셈부르크, 에른스트 마이어, 빌헬름 피크, 아우구스트 탈하이머를 선출했다.

강령과 앞으로 정치 노선에 대한 논쟁에서 많은 갈등이 생겨났다. 특히 의회주의와 독일 독립사회민주당과의 관계에 대해서 많은 의견이 갈렸다. 로자 룩셈부르크를 비롯한 일부 세력은 독일사회주의자당이라는 명칭과 다음 의회 선거에 참여할 것을 주장했다. 이 안은 독립사민당 잔류파의 경우처럼 부결된다. 독일 국제공산주의자에서도 요한 크니프 정도만 이 제안에 찬성한다. 그래서 당의 다수는 스파르타쿠스단이 전에 했듯이 민주주의와 경쟁자이며 오랫동안 노동자당을 이끌어왔던 사민당을 거부하게 된다. 오토 뤼흘레의 브레멘 급진좌파와 독일 국제 공산주의자는 레닌 지도하의 소련 공산당을 지지하는 입장을 대변한다.

2. 5. 스파르타쿠스단 봉기 (1월 봉기)

1918년 10월 4일, 연합국과의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바덴 대공 막시밀리안 내각이 발족하였고, 사회민주당중앙당진보인민당이 정권에 참여하였다. 막시밀리안은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주장한 "독일 군부와 왕조적 전제군주는 협상 상대는 아니다"라는 협상 자격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의원내각제 도입 등 다양한 개혁을 실시하였다. 그 일환으로 정치범 석방이 이루어져, 리프크네히트룩셈부르크 등 반전 운동으로 투옥되었던 급진 좌파 인사들이 속속 석방되었다. 그들은 석방 후, 전년에 일어났던 10월 혁명을 본보기로 삼아 혁명 선동을 시작하였다.[64]

11월 3일부터 4일에 걸쳐, 무모한 작전에 동원 명령을 받은 킬 군항의 수병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노동자들이 이에 가담하여 큰 세력이 되면서 킬은 "라테"(노병평의회)에 의해 실효 지배되었다. 다른 주요 도시에서도 잇따라 봉기가 일어나, 라테가 각 주요 도시를 장악하게 되었다. 이 "독일 혁명"이라 불리는 반란은 병사와 노동자에 의한 자연 발생적인 대중 혁명 운동이었고, 스파르타쿠스단이나 혁명적 오프로이테 등 급진 좌파 세력이 조직한 것이 아니었지만, 라테는 러시아 혁명의 소비에트(평의회)와 매우 유사했기 때문에, 급진 좌파 세력은 크게 고무되어 이를 추진하기 위해 더욱 격렬한 혁명 선동을 하게 되었다.[64]

11월 9일, 막시밀리안은 빌헬름 2세의 퇴위를 발표하고 사회민주당 당수 에베르트에게 내각을 넘겨주고 사임하였다. 이날 오후 2시경 사회민주당 정권의 샤이데만이 공화국 선언을 하였으나, 이에 맞서 리프크네히트는 오후 4시경 "사회주의 공화국" 선언을 하였다.[65]

1918년 11월 23일 스파르타쿠스단 기관지 「로테 파네(붉은 깃발)」


같은 날 스파르타쿠스단은 「베를린 로칼 안차이거」 신문 편집국을 점거하여 스파르타쿠스단 기관지 「로테 파네(붉은 깃발)」 편집국으로 바꾸었다. 이어 11월 11일, 스파르타쿠스단은 지도부를 설립하였고, 리프크네히트, 룩셈부르크, 메링, 요기헤스, 마이어, 파울 레비, 빌헬름 피크, 헤르만 둔커, 케테 둔커, 파울 랑에, 베르타 탈하이머, 후고 에벨라인이 그 멤버가 되었다. 이 중 리프크네히트, 룩셈부르크, 탈하이머, 레비, 랑에는 「로테 파네」 편집국을 구성하였고, 요기헤스는 전국 지도부(조직부), 에벨라인은 노동조합부, 둔커 부부는 부인 및 청년 작업, 피크는 베를린에서의 작업, 마이어는 홍보를 각각 담당하였다.

3.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1921년경 독일 공산당(KPD) 라이히스타크 의원들.


독일 공산당은 제1차 세계 대전독일 사회민주당(SPD)의 전쟁 지지 방침에 반발한 스파르타쿠스단을 기원으로 한다. 독일 혁명에서 카를 리프크네히트로자 룩셈부르크 등 스파르타쿠스단 지도자들이 석방되자 혁명 선동을 시작했지만, 사회민주당 정권과 대립이 심화되었다. 1919년 1월 스파르타쿠스단 봉기를 일으켰으나, 의용군에 의해 진압되어 실패하고 리프크네히트와 룩셈부르크는 학살당했다.

이후 파울 레비가 당을 이끌었고, 1919년 코민테른에 가입했다. 1920년에는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 좌파와 합쳐 Vereinigte Kommunistische Partei Deutschlands|독일 통일 공산당|VKPDde로 개명했다(1921년 “독일 공산당”으로 돌아옴). 레비는 폭동주의자를 추방하고 “통일전선 전술”을 추진했지만, 코민테른에 반발하여 1921년 2월 실각했다.

Heinrich Brandler|하인리히 브란트러de가 후임 지도자가 되었다. 1921년 3월, 코민테른 지시로 Märzkämpfe in Mitteldeutschland|중부 독일 3월 투쟁de을 일으켰지만 실패했다. 1921년 8월 당 대회에서 “통일전선 전술”로 복귀했으나, 1923년 초인플레이션으로 노동자들이 급진화되면서 당내 좌파로부터 비판이 나왔다. 1923년 가을 코민테른이 폭력 혁명 노선으로 돌아섰고, 브란트러는 1923년 10월 작센주튀링겐주의 사회민주당 좌파 정권에 공산당원을 입각시키며 혁명 군사 행동을 시도했지만, 중앙 정부 군대에 진압되어 실패했다.

브란트러는 1923년 10월 봉기 실패 책임을 지고 실각했다. 루트 피셔 등 당내 좌파 중심 지도부가 발족했지만, 소련의 스탈린레프 트로츠키와 투쟁하면서 1925년 코민테른은 “통일전선 전술”로 회귀했다. 피셔는 코민테른에 따랐지만, 스탈린에게 의심받아 1925년 가을 실각했다.

이후 스탈린에게 충실한 에른스트 텔만이 지도자가 되었다. 텔만은 중간파와 지도부를 형성하여 좌파 반대파를 억눌렀지만, 1928년 스탈린이 부하린우파와 투쟁하면서 코민테른은 좌회전했다. 스탈린과 텔만은 당내 우파를 숙청했고, 1929년 6월 당 대회까지 당의 스탈린주의화를 완성했다. 당내 반대파는 허용되지 않았고, “사회 파시즘론”에 기초한 사회민주당 배척이 강화되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과도 공투했다. 사회민주당 계열 Allgemeiner Deutscher Gewerkschaftsbund|독일 노동조합 총연맹de(ADGB) 분열을 유도하며 공산당 계열 Revolutionäre Gewerkschafts-Opposition|혁명적 노동조합 반대파de(RGO)를 결성했다.

1929년 세계 대공황 이후, 독일 공산당은 지지 확대와 국회 선거 승리로 나치와 사회민주당에 이은 제3당이 되었다. 그러나 1933년 1월 히틀러 내각 성립으로 금지되어 지하로 잠복했다.

독일 공산당의 국가의회 선거 결과
선거득표수득표율의석증감
1920년 총선589,4542.1% (#8)4
1924년 5월 총선3,693,28012.6% (#4)62+ 58
1924년 12월 총선2,709,0869.0% (#5)45- 17
1928년 총선3,264,79310.6% (#4)54+ 9
1930년 총선4,590,16013.1% (#3)77+ 23
1932년 7월 총선5,282,63014.3% (#3)89+ 12
1932년 11월 총선5,980,61416.9% (#3)100+ 11
1933년 3월 총선4,848,05812.3% (#3)81- 19


3. 1. 레비 체제와 코민테른 가입

로자 룩셈부르크를 비롯한 일부 세력은 독일사회주의자당(Sozialistische Partei Deutschlands)이라는 명칭과 다음 의회 선거에 참여할 것을 주장했으나, 독립사민당(USPD) 잔류파의 경우처럼 부결되었다. 독일 국제공산주의자(IKD)에서도 요한 크니프 정도만 이 제안에 찬성했다. 당의 다수는 스파르타쿠스단이 전에 했듯이 민주주의와 경쟁자이며 오랫동안 노동자당을 이끌어왔던 사민당을 거부하게 되었다. 오토 뤼흘레의 브레멘 급진좌파와 독일 국제 공산주의자는 레닌 지도하의 소련 공산당을 지지하는 입장을 대변했다.

1920년대 내내 독일 공산당(KPD)은 급진파와 온건파 사이의 내부 갈등에 시달렸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조세프 스탈린과 그리 고리 지노비예프 사이의 모스크바 권력 투쟁을 반영한 것이었다. 독일은 사회주의 투쟁에 중대한 중요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고, 독일 혁명의 실패는 큰 좌절이었다. 결국 레비는 1921년 "불복종"으로 코민테른에 의해 제명되었다.

3. 2. 브란틀러 체제와 1921년 3월 투쟁

1918년 12월 베를린에서 열린 스파르타쿠스단 전국협의회에 독일 국제공산주의(브레멘 좌파) 지도자 카를 라데크가 참석하여 스파르타쿠스단과 독일 국제공산주의의 합병이 제안되었고, 리프크네히트를 비롯한 스파르타쿠스단 간부 대다수가 이를 지지하여 합병이 결의되었다.[67]

1920년대 내내 독일 공산당(KPD)은 급진파와 브란틀러로 대표되는 온건파 사이의 내부 갈등에 시달렸다. 이는 부분적으로 조세프 스탈린과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사이의 모스크바 권력 투쟁을 반영한 것이었다. 독일은 사회주의 투쟁에 중대한 중요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고, 독일 혁명의 실패는 큰 좌절이었다. 결국 파울 레비는 1921년 "불복종"으로 코민테른에 의해 제명되었다.

독일 공산당 지도부는 모스크바에 레온 트로츠키를 독일에 파견하여 1923년 봉기를 지휘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이 제안은 스탈린, 지노비예프, 카메네프가 장악한 정치국에 의해 거부되었고, 하급 러시아 공산당원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16]

3. 3. 통일전선 전술의 부활과 1923년 10월 봉기 계획

1920년대 독일 공산당(KPD)은 급진파와 온건파 사이의 내부 갈등을 겪었으며, 이는 조세프 스탈린과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사이의 권력 투쟁을 반영하기도 했다. 독일 혁명의 실패는 큰 좌절로 여겨졌고, 1921년 파울 레비는 "불복종"을 이유로 코민테른에서 제명되었다. 이후에도 지도부 변화가 계속되었으며, 좌익 또는 우익 반대파 지지자들은 스탈린주의가 장악한 코민테른에 의해 제명되었다. 이들 중 하인리히 브란들러, 아우구스트 탈하이머, 파울 프뢰리히는 1928년 공산당 반대파를 결성했다.

독일 공산당 지도부는 레온 트로츠키를 독일에 파견하여 1923년 봉기를 지휘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스탈린, 지노비예프, 카메네프가 장악한 정치국에 의해 거부되었다.[16]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동안 KPD는 유럽에서 가장 큰 공산당이었고, 소련을 제외한 공산주의 운동의 "주도 정당"으로 여겨졌다.[17] 1924년부터 라이히스타크 선거에 참여하여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3. 4. 브란틀러 실각과 좌파 지도부 성립

1920년대 내내 독일 공산당(KPD)은 급진파와 온건파 사이의 내부 갈등에 시달렸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조세프 스탈린과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사이의 모스크바 권력 투쟁을 반영한 것이었다. 독일은 사회주의 투쟁에 중대한 중요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고, 독일 혁명의 실패는 큰 좌절이었다. 결국 레비는 1921년 "불복종"으로 코민테른에 의해 제명되었다. 1920년대에도 추가적인 지도부 변화가 있었다. 좌익 또는 우익 반대파의 지지자들은 스탈린주의가 장악한 코민테른 지도부에 의해 제명되었고, 이들 중 하인리히 브란들러, 아우구스트 탈하이머, 파울 프뢰리히는 1928년 분파인 공산당 반대파를 결성했다.

독일 공산당 지도부는 모스크바에 레온 트로츠키를 독일에 파견하여 1923년 봉기를 지휘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이 제안은 스탈린, 지노비예프, 카메네프가 장악한 정치국에 의해 거부되었고, 하급 러시아 공산당원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16]

3. 5. 텔만 체제와 당내 파벌 항쟁

에른스트 텔만(Ernst Thälmann)은 1924년 1월 독일 공산당(KPD) 부의장이 되었고, 1925년에는 당 의장이 되었다. 텔만의 지도 아래 당은 조셉 스탈린(Joseph Stalin)이 이끄는 소련 지도부와 밀접하게 연계되었다.[18]

1920년대 내내 독일 공산당은 급진파와 온건파 사이의 내부 갈등을 겪었다. 이는 조세프 스탈린과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사이의 권력 투쟁을 반영한 것이었다. 결국 1921년 파울 레비는 "불복종"으로 코민테른에 의해 제명되었다. 1928년 존 위토르프(John Wittorf)의 횡령 사건 이후, 스탈린은 KPD 중앙위원회의 다수 의견에 반해 텔만을 지도자로 복귀시켰다.[26] 그 후, 텔만은 하인리히 브란들러(Heinrich Brandler)를 중심으로 한 당의 우파 반대파(Right Opposition)를 축출했다.[18]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동안 KPD는 유럽에서 가장 큰 공산당이었고, 소련을 제외한 공산주의 운동의 "주도 정당"으로 여겨졌다.[17] 1927년까지 당원 수는 13만 명에 달했다.[18] 1928년 이후 당은 코민테른 노선을 따랐고 코민테른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7][27]

1923년부터 1928년까지 KPD는 연합전선(united front) 정책을 따랐다. 다른 노동 계급 및 사회주의 정당과 협력하여 선거에 참여하고, 사회 투쟁을 추구하며, 우익 민병대와 싸웠다.[19][20][21][22] 1924년부터 라이히스타크 선거에 참여하여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KPD의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득표수득표율 (%)의석증감
1920년 총선589,4542.14+4
1924년 5월 총선3,693,28012.662+58
1924년 12월 총선2,709,0869.045-17
1928년 총선3,264,79310.654+9
1930년 총선4,590,16013.177+23
1932년 7월 총선5,282,63014.389+12
1932년 11월 총선5,980,61416.9100+11
1933년 3월 총선4,848,05812.381-19


3. 6. 사회 파시즘론과 나치와의 공투

코민테른은 1924년 제5차 세계대회 이후 파시즘사회민주주의를 동일시하는 「사회파시즘론」을 취했지만, 1928년 제6차 세계대회에서는 더 나아가 "(파시즘보다) 사회민주주의야말로 주요한 적"이라는 극좌 전술을 채택했다.[76] 이 코민테른의 극좌 전술 이후, 독일 공산당의 과격화는 심해졌고, 특히 당의 실력 조직인 붉은 전선 전투 동맹(RFB)은 나치당의 돌격대(SA)와 사민당의 국기단과 무력 충돌을 빈번하게 일으켰다.

1929년 5월 1일부터 4일까지 베를린에서 사민당 정권(헬만 뮐러 내각) 내무장관 카를 제퍼링크와 베를린 경찰청장 Karl Zörgiebel|카를 쩨르기벨de이 금지했던 공산당의 시위가 불법 시위로 강행되었지만, 경찰의 도발적인 발포 등으로 폭동으로 발전하여 31명 사망, 수백 명 부상, 1200명이 체포되는 참사가 벌어졌다(피의 메이데이 사건).[76] 이 사건을 둘러싼 비판 공방과 붉은 전선 전투 동맹 불법화 등으로 사민당과 공산당의 대립은 절정에 달했고, 공산당은 「사회파시즘론」에 더욱 경도되었다.

독일 공산당은 나치당과 사민당을 동류로 보면서도 주적은 권력을 쥐고 있는 사민당으로 여겼다. 나치당에 대해서는 공산당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힘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찮은 존재로 얕잡아 보았고, 그들에 대한 대책은 "파시스트는 만나면 바로 때려눕혀라!"라는 거리 투쟁 슬로건만으로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뿐만 아니라, 독일 공산당은 사민당에 대한 투쟁 범위 내에서는 나치당과의 공투도 마다하지 않았다. 1931년 여름, 소위 '국민 반대파'(나치당, 국가인민당, 철모단 등)가 프로이센 주의 사민당 정권 타도를 노리고 프로이센 주 의회 해산을 요구하는 국민 청원을 시작했지만, 공산당도 그들과 통일전선을 펴고 청원 운동에 참가했다. 의회 내에서도 공산당 의원단은 종종 나치스 의원단과 연합전선을 폈다.

1932년 1월에는 코민테른에서 파견된 스탈린의 측근 드미트리 마누일스키가 "나치는 사회민주당의 조직을 파괴하기 때문에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선구자이다"라고 말했고, 이에 따라 독일 공산당의 레메레는 "나치의 정권 장악은 필연적이며, 그때 공산당은 관망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3. 7. 세계 대공황과 공산당의 대두

1929년 세계 대공황으로 인한 불황이 심화되면서, 독일에서는 바이마르 공화국에 대한 실망이 커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일 공산당은 하층 계급의 지지를 얻어 세력을 급속히 확장하여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공산주의 정당으로 성장했다. 공산당은 벽을 가득 채운 포스터와 질서정연한 행진을 하는 적색전선전투동맹 등 시각적인 선전 수법을 적극 활용했는데, 이는 훗날 국민계몽·선전장관이 된 나치당 선전국장 요제프 괴벨스가 칭찬할 정도였으며, 사회민주당의 국기단과 함께 나치스당(돌격대 등)이 모방하기도 했다.[77]

독일 공산당은 1930년 9월 14일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회민주당 지지층의 표를 흡수하여 득표율 13.1%로 77석(총 577석)을 획득, 사회민주당과 나치당에 이어 제3당이 되었다. 1932년 7월 31일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득표율을 14.3%로 높여 89석(총 608석)을 획득했고, 같은 해 11월 6일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득표율을 16.9%로 높여 100석(총 584석)을 획득하여 제3당의 지위를 유지했다.[78] 특히 1932년 11월 6일 선거에서는 수도 베를린에서 총 투표수의 31%를 획득하여 단독 제1당[79]이 되기도 했다.

독일 공산당의 국가의회 선거 결과
선거득표수득표율의석증감
1920년 총선589,4542.1% (#8)4
1924년 5월 총선3,693,28012.6% (#4)62+ 58
1924년 12월 총선2,709,0869.0% (#5)45- 17
1928년 총선3,264,79310.6% (#4)54+ 9
1930년 총선4,590,16013.1% (#3)77+ 23
1932년 7월 총선5,282,63014.3% (#3)89+ 12
1932년 11월 총선5,980,61416.9% (#3)100+ 11
1933년 3월 총선4,848,05812.3% (#3)81- 19



그러나 1932년 3월 13일과 4월 10일의 대통령 선거에서는 공산당 후보 에른스트 텔만이 "힌덴부르크를 뽑는 자는 히틀러를 뽑는 것이고, 히틀러를 뽑는 자는 전쟁을 뽑는 것이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선거전을 펼쳤지만 참패했다. 텔만의 득표수는 1차 투표보다 2차 투표에서 더 적었는데, 이는 1차 투표에서 텔만에게 투표한 사람들 중 일부가 2차 투표에서는 아돌프 히틀러에게 투표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4. 나치 시대

1933년 1월 30일, 나치당 당수 아돌프 히틀러가 파울 폰 히덴부르크 대통령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면서, 독일 공산당(KPD)은 탄압의 시기를 맞이했다.

2월 27일 발생한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은 KPD 탄압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나치는 이 사건을 공산주의자들의 소행으로 몰아, 2월 28일 사실상의 계엄령인 「독일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기 위한 대통령령」을 발표했다. 이 칙령으로 KPD 당원들은 '보호 구금'(Schutzhaft)되었고, 당 기능은 거의 마비되었다.[80]

KPD는 1933년 3월 5일 선거에서 81석을 획득했지만, 3월 9일 의석을 박탈당하고, 3월 31일에는 『란트와 라이히의 균제화에 관한 잠정 법률』에 의해 결사가 금지되었다.

이러한 탄압 속에서 KPD는 지하 활동으로 전환했지만, 에른스트 탈만을 비롯한 주요 지도자들이 체포되거나 처형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일부 당원들은 나치 강제수용소에 수감되었고, 소련으로 망명한 당원들 또한 조세프 스탈린의 대숙청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희생되었다.

4. 1. 탄압과 지하 활동

1933년 1월 30일, 나치당 당수 아돌프 히틀러가 파울 폰 히덴부르크 대통령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었다. 2월 1일 국회가 해산되면서 선거전에 돌입했지만, 2월 4일 야당 활동을 제한하는 「독일 민족 보호를 위한 대통령령」이 발령되었다. 2월 초, 독일 공산당(KPD)은 기관지와 집회가 금지되고, 당 지방국에 대한 수사와 압수, 당 직원 체포 등으로 완전히 수세에 몰렸다.

1933년 2월 27일, 방화된 국회의사당 건물


선거 기간 중인 2월 27일,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이 발생했고, 네덜란드 출신의 평의회 공산주의자 마리누스 판 데어 루베가 체포되었다. 프로이센 내무장관 헤르만 괴링은 이를 국제 공산주의 운동 전체의 음모로 간주하고, 2월 28일 사실상의 계엄령인 「독일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기 위한 대통령령」을 제정했다. 이 긴급령에 따라 공산당원들은 '보호 구금'(Schutzhaft)되었고, 같은 날 4000명의 공산당원이 체포되어 당 기능이 거의 완전히 정지되었다.[80]

궁지에 몰린 KPD는 "파시스트의 공격에 대항하는 행동 통일전선"을 요구했지만, 코민테른의 "사회파시즘론"에 얽매여 사회민주당과 협력하지 못했다. 에른스트 탈만은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직후인 3월 3일 체포되어 11년간 재판 없이 구금된 후,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에서 1944년8월 17일 처형되었다. 3월 5일 선거에서 KPD는 81석을 얻었지만, 3월 9일 의석을 박탈당했다.

3월 23일 전권 위임법 제정 후, KPD는 3월 31일 『란트와 라이히의 균제화에 관한 잠정 법률』에 의해 결사가 금지되고, 국회와 지방 의회 모든 의석을 박탈당했다.

탈만 체포 후, 코민테른은 소련으로 망명한 발터 울브리히트빌헬름 피크를 새 당수로 임명했다. 독일 내에서는 John Schehrde가 지하 KPD를 이끌었지만, 1934년 2월 1일 체포되어 사살되었다.

KPD는 지하 조직이 된 후에도 "사회파시즘론"을 고수하며, 1933년 5월 "국가 기관에서 사회파시스트가 완전히 축출...자본 독재의 사회적 기둥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라고 성명을 냈다.

1935년 7월 코민테른 제7차 세계 대회에서 "사회파시즘론"이 폐기되고, "반파시즘 통일전선 전술"이 채택되자, 10월 브뤼셀 당 대회에서 "인민 전선" 전술을 채택했다.[81] 1936년, 지하 KPD의 마지막 지도자 Wilhelm Firlde이 체포되어 인민 법정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1937년 처형되었다.

나치 강제수용소의 붉은 배지


보호 구금된 KPD 당원들은 나치 강제수용소에 수감되어 정치범을 나타내는 붉은색 배지를 달았다. 이들은 수용소 내에서 수감자 직책을 맡는 경우가 많았는데, 나치 친위대가 이들의 질서 유지 능력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다. 부헨발트 강제수용소는 KPD 당원이 수감자 직책을 독점한 대표적인 예이다.

4. 2. 소련 망명과 대숙청

독일 공산당은 나치에 의해 효율적으로 탄압되었다. 독일 공산당의 최고 지도자 빌헬름 피크발터 울브리히트는 소련으로 망명했다. 독일 공산당은 나치 시대 내내 독일에서 지하 조직을 유지했지만, 핵심 당원들의 상당수를 잃으면서 당의 기반 시설이 심각하게 약화되었다.[42]

1937년부터 1938년까지 이어진 조세프 스탈린의 대숙청으로 망명 중이던 많은 고위 KPD 지도자들이 체포되어 처형되었는데, 그중에는 휴고 에버라인, 하인츠 노이만, 헤르만 레멜레, 한스 키펜베르거, 프리츠 슐테, 헤르만 슈베르트가 포함되었다.[43] 마르가레테 부버-노이만처럼 강제수용소인 굴락으로 보내진 사람들도 있었다. 구스타프 폰 방겐하임에리히 밀케(훗날 동독의 슈타지 수장)처럼 동료 망명자들을 NKVD에 고발한 사람들도 있었다.[43]

1939년 8월 독소 불가침 조약이 체결되자 발터 울브리히트는 스탈린에 추종하는 형태로 당을 대표하여 히틀러를 높이 평가하는 성명을 발표하게 되었다. 그 다음 달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도 소련 정부는 히틀러를 지지하며 영국과 프랑스 제국주의를 비판했기 때문에, 망명 공산당원들도 같은 입장을 취했다. 이후 1941년 6월 독소전쟁이 시작될 때까지 망명 공산당원들은 스탈린의 미움을 사 처형될 것을 두려워하여 반히틀러·반나치 행동을 삼갔다.

독소전쟁이 시작되자 소련 정부는 돌연 반파시즘, 반독일 캠페인을 시작했기 때문에, 망명 공산당원들도 반나치 운동을 재개하게 되었다. 1935년 이후의 "반파시즘 통일전선 전술"에 기초하여 비공산당계 좌익에 대한 공격을 완화하며 활동했다. 1943년 5월에는 서방 연합국과 비공산당계 반나치 그룹의 불신을 없애기 위해 코민테른이 해산되었다. 그 다음 달에는 모스크바 근교에서 망명 독일 공산당원과 포로가 된 독일군 장교·병사를 중심으로 "자유 독일 국민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스탈린은 가능한 한 많은 독일군 장병을 이 위원회에 통합하려고 했기 때문에 위원회에서 사회주의 색채를 철저히 제거시켰다. 위원회의 깃발로 제정 시대의 흑백적 국기를 사용할 정도였다.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66년 동독 우표. 빌헬름 피크오토 그로테볼의 1946년 사회주의통일당 창당대회에서의 악수를 기념한다.


1947년 2월 28일 런던에서 열린 회의에 참석한 서독 공산당원들. 왼쪽부터 서서: 알베르트 부흐만, 빌리 아가츠, 막스 라이만, 알 수 없음, 레오 바우어, 구스타프 군델라흐.


동독의 독재 정당인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 당대회에 참석한 서독 공산당 지도자 막스 라이만(1950년 7월 22일, 베를린)


1946년 빌헬름 피크오토 그로테볼이 주도한 독일 공산당(KPD)과 독일 사회민주당(SPD) 동부 지부의 통합으로 독일 사회주의통일당(SED)이 창당되었다. 이 과정은 소련 군정의 강요로 이루어졌으며, 표면적으로는 동등한 통합이었지만 실제로는 공산주의 세력이 SED를 장악했다.[44] 통합에 반발한 사민당원들은 숙청되었고, 1949년 동독 수립 당시 SED는 소련의 다른 동맹국 공산당들과 유사한 완전한 공산당으로 발전했다.[45] SED는 1949년부터 1989년까지 동독의 집권당이었다. 한편, 사민당은 동베를린에서 독립성을 유지했고, SED는 서베를린에 서베를린 사회주의통일당이라는 소규모 지부를 설립했다.[46][47]

서독에서 독일 공산당(KPD)은 재조직되었고, 1949년 제1차 연방의회 선거에서 5.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냉전의 시작과 그에 따른 극좌에 대한 광범위한 탄압으로 인해 당의 지지율은 곧 붕괴되었다. 동독 점령 중 소련군의 행동, 특히 약탈, 정치적 탄압, 그리고 대량 강간으로 인해 당의 명성도 손상되었다.[48] 스탈린의 명령에 따라 의회평의회의 공산당 의원들은 서독의 정치적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기 위해 서독의 기본법에 서명하기를 거부했다.[49] 1953년 선거에서 KPD는 전체 투표의 2.2%만을 얻어 모든 의석을 잃었고, 다시는 의회에 복귀하지 못했다. 1956년 8월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에 의해 당이 금지되었다.[44] 이 결정은 1957년 유럽인권위원회가 ''독일 공산당 대 독일 연방공화국'' 사건에서 확정했다.

당이 불법으로 선언된 후, 많은 당원들은 강화된 정부 감시에도 불구하고 비밀리에 활동을 계속했다. 당원 일부는 1968년에 독일 공산당(DKP)을 재결성했다.[50][51][52][53] 독일 통일 후 많은 DKP 당원들은 SED의 잔당으로부터 형성된 새로운 민주사회주의당에 합류했다. 1968년, KPD의 또 다른 자칭 후계자격인 독일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자(KPD/ML)가 결성되었는데, 이들은 마오이즘 및 후에 호자이즘 사상을 따랐다. 이 당은 여러 차례 분열을 거듭했고, 1986년 트로츠키주의 단체와 합쳐 통일 사회주의당(VSP)을 결성했지만, 영향력을 얻지 못하고 1990년대 초 해산되었다.[44] 그러나 KPD/ML에서 갈라져 나온 여러 작은 분파들이 여전히 존재하며, 그중 여러 개가 KPD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KPD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또 다른 정당은 1990년 동베를린에서 에리히 호네커를 포함한 PDS에서 축출된 강경파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결성되었다. 동독 KPD에서 2005년 KPD(볼셰비키)가 분리되어 현재 활동 중인 KPD는 최소 5개 이상(대략적으로) 존재한다.

2007년 PDS와 노동사회정의 – 선거대안의 합병으로 결성된 좌파당은 (PDS를 거쳐) KPD의 역사적 후계자임을 주장한다.

5. 1. 동독 지역: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

1946년 빌헬름 피크오토 그로테볼이 주도한 독일 공산당(KPD)과 독일 사회민주당(SPD) 동부 지부의 통합으로 독일 사회주의통일당(SED)이 창당되었다. 이 과정은 소련 군정의 강요로 이루어졌으며, 표면적으로는 동등한 통합이었지만 실제로는 공산주의 세력이 SED를 장악했다.[44] 통합에 반발한 사민당원들은 숙청되었고, 1949년 동독 수립 당시 SED는 소련의 다른 동맹국 공산당들과 유사한 완전한 공산당으로 발전했다.[45] SED는 1949년부터 1989년까지 동독의 집권당이었다. 한편, 사민당은 동베를린에서 독립성을 유지했고, SED는 서베를린에 서베를린 사회주의통일당이라는 소규모 지부를 설립했다.[46][47]

5. 2. 서독 지역: 재건과 불법화

서독에서 독일 공산당(KPD)은 재조직되었고, 1949년 제1차 연방의회 선거에서 5.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냉전의 시작과 그에 따른 극좌에 대한 광범위한 탄압으로 인해 당의 지지율은 곧 붕괴되었다. 동독 점령 중 소련군의 행동, 특히 약탈, 정치적 탄압, 그리고 대량 강간으로 인해 당의 명성도 손상되었다.[48] 스탈린의 명령에 따라 의회평의회의 공산당 의원들은 서독의 정치적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기 위해 서독의 기본법에 서명하기를 거부했다.[49] 1953년 선거에서 KPD는 전체 투표의 2.2%만을 얻어 모든 의석을 잃었고, 다시는 의회에 복귀하지 못했다. 1956년 8월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에 의해 당이 금지되었다.[44] 이 결정은 1957년 유럽인권위원회가 ''독일 공산당 대 독일 연방공화국'' 사건에서 확정했다.

당이 불법으로 선언된 후, 많은 당원들은 강화된 정부 감시에도 불구하고 비밀리에 활동을 계속했다. 당원 일부는 1968년에 독일 공산당(DKP)을 재결성했다.[50][51][52][53] 독일 통일 후 많은 DKP 당원들은 SED의 잔당으로부터 형성된 새로운 민주사회주의당에 합류했다. 1968년, KPD의 또 다른 자칭 후계자격인 독일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자(KPD/ML)가 결성되었는데, 이들은 마오이즘 및 후에 호자이즘 사상을 따랐다. 이 당은 여러 차례 분열을 거듭했고, 1986년 트로츠키주의 단체와 합쳐 통일 사회주의당(VSP)을 결성했지만, 영향력을 얻지 못하고 1990년대 초 해산되었다.[44] 그러나 KPD/ML에서 갈라져 나온 여러 작은 분파들이 여전히 존재하며, 그중 여러 개가 KPD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KPD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또 다른 정당은 1990년 동베를린에서 에리히 호네커를 포함한 PDS에서 축출된 강경파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결성되었다. 동독 KPD에서 2005년 KPD(볼셰비키)가 분리되어 현재 활동 중인 KPD는 최소 5개 이상(대략적으로) 존재한다.

2007년 PDS와 노동사회정의 – 선거대안의 합병으로 결성된 좌파당은 (PDS를 거쳐) KPD의 역사적 후계자임을 주장한다.

5. 3. 후계 정당



동독에서는 소련군정이 동독 사민당(SPD)의 동부 지부에 빌헬름 피크오토 그로테볼이 이끌던 공산당(KPD)과의 합병을 강요하여 1946년 4월 사회주의통일당(SED)을 결성했다.[44] 명목상으로는 동등한 연합이었지만, SED는 곧 공산주의 지배하에 놓였고, 합병에 반발했던 대부분의 사민당 측 구성원들은 곧 숙청당했다. 1949년 동독이 공식적으로 수립될 무렵, SED는 완전한 공산당이 되었고, 다른 소련 동맹국 공산당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발전했다.[45] SED는 1949년 창당부터 1989년까지 동독의 집권당이었다. 사민당은 동베를린에서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 성공하여 SED가 서베를린에 소규모 지부인 서베를린 사회주의통일당을 결성하도록 만들었다.[46][47]

KPD는 서독에서 재조직되었고, 1949년 제1차 연방의회 선거에서 5.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냉전의 시작과 그에 따른 극좌에 대한 광범위한 탄압으로 인해 당의 지지율은 곧 붕괴되었다. 동독 점령 중 소련군의 행동, 특히 약탈, 정치적 탄압, 그리고 대량 강간으로 인해 당의 명성도 손상되었다.[48] 1956년 8월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에 의해 당이 금지되었다.[44]

당이 불법으로 선언된 후, 많은 당원들은 강화된 정부 감시에도 불구하고 비밀리에 활동을 계속했다. 당원 일부는 1968년에 독일 공산당(DKP)을 재결성했다.[50][51][52][53] 독일 통일 후 많은 DKP 당원들은 SED의 잔당으로부터 형성된 새로운 민주사회주의당(PDS)에 합류했다. 1968년, KPD의 또 다른 자칭 후계자격인 독일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자(KPD/ML)가 결성되었는데, 이들은 마오이즘 및 후에 호자이즘 사상을 따랐다. 이 당은 여러 차례 분열을 거듭했고, 1986년 트로츠키주의 단체와 합쳐 통일 사회주의당(VSP)을 결성했지만, 영향력을 얻지 못하고 1990년대 초 해산되었다.[44] 그러나 KPD/ML에서 갈라져 나온 여러 작은 분파들이 여전히 존재하며, 그중 여러 개가 KPD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KPD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또 다른 정당은 1990년 동베를린에서 에리히 호네커를 포함한 PDS에서 축출된 강경파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결성되었다. 동독 KPD에서 2005년 KPD(볼셰비키)가 분리되어 현재 활동 중인 KPD는 최소 5개 이상(대략적으로) 존재한다.

2007년 PDS와 노동사회정의 – 선거대안의 합병으로 결성된 좌파당은 (PDS를 거쳐) KPD의 역사적 후계자임을 주장한다.

6. 조직

독일 공산당은 민주집중제 원칙에 따라 운영되었다. 1920년대 초, 당내 다양한 경향들이 대립했고, 당대회[54]에서 투표를 통해 노선과 후보를 결정했다. 당대회 사이에는 중앙위원회가 당을 이끌었으며, 중앙위원회는 당대회에서 선출된 위원들과 지역 대표들로 구성되었다. 1920년, 중앙위원회는 (Politburo)와 조직국(Orgburo)으로 분리되었다.[55] 선출된 인물은 선출한 기구에 의해 해임될 수 있었다.[56]

초기 독일 공산당(KPD)은 약 200명의 상근 직원을 고용했으며, 이들은 평균 숙련 노동자 수준의 임금을 받았다.[57]

1932년 초, 최고 지도부(테르만, 노이만, 렌메레) 사이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테르만은 노이만의 영향력이 강한 당 중앙위원회 서기국을 무시하고, 비서 베르너 히르슈(Werner Hirsch)를 비롯한 자신의 측근들로 제2의 서기국을 만들어 노이만과 렌메레에 대한 음모를 꾸몄다.

1932년 3월 13일 대통령 선거 1차 투표에서 테르만이 참패하자, 3월 14일 서기국 회의에서 노이만이 테르만을 비판하는 총괄문을 제기하면서 둘의 대립은 절정에 달했다. 4월 10일, 노이만과 렌메레는 해임된 것으로 보인다.

5월 14일,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정치위원회 협의에서 렌메레와 노이만의 행동을 처벌하고, 노이만을 6개월 동안 KPD 이외의 국제 활동에 종사시키며, 렌메레는 테르만과 협력하여 당 최고 지도부에서 활동하도록 결정했다. 이 결정에는 스탈린 자신이 관여했으며, 스탈린은 노이만보다 테르만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공산당의 금고에 "엄청난 루블이 있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공산당의 재정은 주로 당비와 기부금으로 충당되었다. 1923년 당비는 월액 1시간치 임금이었으나, 1924년에는 20페니히, 15페니히, 5페니히의 3단계로 나뉘었다. 1925년에는 최저 평균 소득의 1%로 인상되었다. 그러나 공산당 당원은 대부분 저소득 노동자나 실업자였기 때문에 당비 수입은 많지 않았다. 반면, 공산당 국회의원들은 월 750라이히스마르크 봉급 중 약 300라이히스마르크를 당에 납부해야 했다.

모금도 중요한 수입원이었다. 특히 선거 전에는 당의 각 거주 그룹과 지역이 경쟁적으로 모금을 실시했다. 1928년 5월 총선 직전, 당 중앙 기관지 『로테 파르네』는 베를린에서 1만 2547라이히스마르크가 모였다고 보도했다.

당은 자영 기업들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주로 당 기관지와 관련된 것이었다. 1923년 10월, 당은 34개의 일간지와 19개의 인쇄소를 가지고 있었다. 1929년 적색전선전사동맹이 불법화된 후, 당 지도부는 국가에 의한 당 재산 몰수를 우려하여 명목상의 매각을 통해 "탈정치화"에 착수했다. 그러나 이러한 위장은 나치당 정권에는 통하지 않았고, 결국 당 재산은 몰수되었다.

다음은 1925년 제10차 독일 공산당 대회에서 결정된 규약의 일부이다.

제1조독일 공산당은 코민테른 독일 지부이며, 독일 공산당 코민테른 지부라고 칭한다.
제6조독일 공산당은 코민테른의 모든 지부와 마찬가지로 민주적 중앙집권주의(민주집중제) 원칙에 기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가항하급 및 상급 당 기관의 선거는 전당원 집회, 전국협의회, 그리고 당대회에서 이루어진다.
나항당 기관의 회계 보고는 그 선거에 앞서 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다항상급 기관의 결의에 대한 하급 기관의 승인 의무, 엄격한 당규율, 코민테른 중앙집행위원회 및 지도적 당 기관의 결의의 신속하고 확실한 이행. 그 활동이 특정 지역에 미치는 기관은 그 활동이 단지 이 지역의 개별 부분에 국한되는 기관에 대해 상급 기관으로 간주된다. 당 문제에 대한 논쟁은 당원에 의해 해당 기관의 결정이 있을 때까지 허용된다. 코민테른 대회, 당대회 또는 지도적 당 기관에 의해 결의가 이루어진 후에는, 이 결의는 당원의 일부 또는 지역적 당 기관의 일부가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도 무조건 실행되어야 한다.
제7조이상 상태 하에서는 하부 당 기관의 상부 당 기관에 의한 임명 또는 상급 당 기관의 승인에 의한 지도부의 자체 보충이 허용된다. 이 조치는 그럴 가능성이 있는 즉시, 나중에 기관에 제출하여 결의를 얻어야 한다.
제8조당 기관은 코민테른 및 당의 기존 결의의 틀 안에서 지역 문제에 있어서는 자주적이다.
제9조모든 기관의 최고 결정 기관은 당원 집회, 협의회 또는 당대회이다.
제10조전원 집회, 협의회 또는 당대회는 그 중간 기간의 지도 기관으로서 해당 기관의 일상 활동을 수행하는 해당 지도부를 선출한다.
제11조당 구성의 도식은 다음과 같다.
가항개별 공장, 작업장, 사무소, 상점, 농장, 시가지 등에 대해서는 세포 집회-세포 지도부.
나항소도시, 농촌 등의 지역에 대해서는 지역 세포 회의(농촌 세포 회의) 또는 지역 집회(농촌 집회)-지역 지도부.
다항시구 지역에 대해서는 시구 협의회-시구 지도부.
라항하위 지역에 대해서는 하위 지역 회의-하위 지역 지도부.
마항지역에 대해서는 지역 대회-지역 지도부.
바항전국에 대해서는 당대회-중앙위원회.
주: 경영 세포의 다음 상위 조직 단계는 세포 그룹이다. 시구의 크기에 따라 하나의 시구 안에 많은 세포 그룹이 있는 경우도 있다. 조직의 그 이상의 구분은 조직의 특수한 상황과 개별 지역의 특수한 상황에 따라 정비되어야 한다.
1925년 제10차 독일 공산당 대회 결정의 규약



제2조코민테른 및 공산당의 강령과 규약을 승인하고, 당의 기본적인 하부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여기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당내 코민테른의 모든 결의에 복종하고, 규칙적으로 당비를 납부하는 자는 당원이 될 수 있다.
제3조새로운 당원의 채용은 당 세포에 의해 이루어진다. 신규 채용은 도시 지역 지도부 또는 지역 지도부의 확인을 요한다.
제4조다른 정치 조직의 일정한 그룹 또는 정치 조직 전체가 공산당에 입당하고자 할 때에는 중앙위원회의 결의에 따른다.
제5조근무처를 변경할 때에는 사업장 세포 당원은 사업장 세포 지도부에 보고해야 할 의무를 진다. 거주지 변경 시에는 당원은 세포 그룹 지도부에 보고해야 할 의무를 갖는다. 다른 주로 이주할 때에는 당 중앙위원회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이에 관한 문의는 당 기관을 통해 이루어진다.
제42조당 규율 위반은 해당 당 조직 측에서의 벌칙을 수반한다. (중략) 개별 당원에게는 다음과 같은 벌칙이 적용된다. 당내 경고, 외부 경고, 활동 정지, 기간부 탈당, 최종 탈당.
제44조당원 탈당 문제는 해당 당 기관(세포)의 집회에 의해 상급 당 지도부에 제안된다. 탈당 결의는 지역 지도부가 승인한 후에 효력을 발생한다. 항소는 최고 기관까지 할 수 있다. 탈당 확인이 될 때까지, 해당자는 당 활동을 정지당한다. 탈당 결의는 일반적으로 당 기관지에 공표된다. 탈당한 자의 재입당은 탈당을 시행한 조직이 재입당을 인정할 때에만 할 수 있다.
제47조당비는 최저 평균 소득의 1%로 한다. (이하 생략)
제48조충분한 이유를 제시하지 않고 석 달 동안 당비를 납부하지 않는 당원은 경고를 해도 효과가 없을 때, 탈당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것은 당원 집회 및 해당 당원에게 통보된다.
1925년 제10차 독일 공산당 대회 결정의 규약


6. 1. 당수 (의장)

재임 기간이름비고
1919년 1월 1일 - 1919년 1월 15일로자 룩셈부르크제1의장
1919년 1월 1일 - 1919년 1월 15일칼 리프크네히트제2의장
1919년 1월 15일 - 1921년 2월 24일파울 레비
1921년 2월 24일 - 1921년 8월 26일하인리히 브란틀러|Heinrich Brandlerde제1의장
1921년 2월 24일 - 1921년 8월 26일발터 슈테커|Walter Stoeckerde제2의장
1921년 8월 26일 - 1922년 7월에른스트 마이어
1922년 7월 - 1924년 4월 10일하인리히 브란틀러|Heinrich Brandlerde제1의장
1922년 7월 - 1924년 4월 10일아우구스트 탈하이머|August Thalheimerde제2의장
1924년 4월 10일 - 1925년 8월 20일루트 피셔제1의장
1924년 4월 10일 - 1925년 8월 20일아르카디 마즐로|Arkadi Maslowde제2의장
1925년 8월 20일 - 1933년 3월 3일에른스트 텔만제1의장
1925년 8월 20일 - 1930년필립 덴겔|Philipp Dengelde제2의장
1933년 3월 3일 - 1934년 2월 1일존 셰어|John Schehrde
1934년 2월 - 1935년 10월빌헬름 피크대리
1935년 10월 - 1946년 4월 22일빌헬름 피크
1948년 4월 27일 - 1956년 8월 17일막스 라이만|Max Reimannde서독 공산당 서기장
1956년 8월 17일 - 1968년막스 라이만|Max Reimannde중앙위원회 제1서기|Коммунистическая партия Германии (1948)ru

[1]

6. 2. 당원

독일 공산당은 민주적 중앙집중제 원칙 하에 운영되었으며, 1920년대 초에는 당내 다양한 경향들이 대립하고 투표를 통해 당의 노선과 후보를 결정했다. 당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는 1년에 한 번 이상 개최되는 당대회였다.[54] 당대회 사이에는 중앙위원회가 당을 이끌었는데, 중앙위원회는 당대회에서 직접 선출된 위원들과 지역 대표들로 구성되었다. 1920년, 중앙위원회는 (Politburo)와 조직국(Orgburo)으로 분리되었다.[55] 선출된 인물은 그들을 선출한 기구에 의해 해임될 수 있었다.[56]

독일 공산당(KPD)은 초기에는 약 200명의 상근 직원을 고용했으며, 이들은 평균 숙련 노동자 수준의 임금을 받았다.[57]

1863년부터 1933년까지 독일 좌익 정당의 변천도


독립사회민주당 좌파는 1월 봉기 이후 파울 레비 지도하의 공산당과 의견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74]

1920년 7월 코민테른 제2차 세계대회에서 독립사회민주당은 코민테른 가입 조건으로 21개 조항을 제시받았다. 여기에는 코민테른에 대한 절대 복종과 카우츠키, 힐퍼딩 등 "기회주의자" 간부 추방 등이 포함되었다.

1920년 10월 독립사회민주당 대회에서 코민테른 가입과 공산당과의 합당이 결의되었지만, 우파는 이에 반발하여 독립사회민주당에 남았다. 코민테른의 강압적인 태도는 좌파에게도 반발을 불러일으켜, 결국 공산당으로 이적한 독립사회민주당원은 80만 명 중 30만 명에 불과했다.

1920년 12월, 공산당과 독립사회민주당 좌파의 통합대회에서 공산당은 ""(VKPD)로 개명했다(1921년 8월 당대회에서 "독일 공산당"으로 복귀). 새로운 중앙부에는 파울 레비와 Ernst Däumig|에른스트 도이미히de가 의장으로, 클라라 체트킨, Wilhelm Koenen|빌헬름 코에넨de, Heinrich Brandler|하인리히 브란틀러de, Otto Brass|오토 브라스de, Walter Stoecker|발터 슈테커de, 빌헬름 피크, Hermann Remmele|헤르만 렘멜레de 등이 취임했다. 지도부는 독립사회민주당과 공산당 출신이 절반씩 차지했다.

1926년 프레드리히스펠데 중앙묘지(Zentralfriedhof Friedrichsfelde)에 건설된 혁명기념비(Revolutionsdenkmal) 앞에서 연설하는 에른스트 탈레만(1926년 6월 13일)


그러나 스탈린은 독일 공산당 좌파를 불신했고, 1925년 7월 당대회에서 선출된 좌파 지도부는 "코민테른과의 일치에 있어 부족한 점이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1925년 8월, 코민테른 집행위원회는 독일 공산당원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마즐로-피셔 그룹의 이중적인 태도를 비판하고, 분파로서의 좌파 해체와 코민테른 노선으로의 결집을 요구했다. 이 압력으로 피셔와 마즐로는 당 지도부에서 추방되었다.

에른스트 탈레만, 필립 덴겔(Philipp Dengel), 오토마르 게슈케(Ottomar Geschke), 에른스트 슈넬러(Ernst Schneller) 등 친코민테른 좌파가 지도부를 장악했다. 특히 탈레만이 당을 이끌게 되면서, 독일 공산당은 스탈린주의화되었다.

탈레만 체제하의 초기 노선은 브란트러와 피셔의 "좌우의 과도함"을 피하는 중간 노선이었으며, 1928년부터 1929년경 극좌 노선으로 전환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통일전선 전술로 돌아선 공산당은 1925년 말 구 왕족 재산 무상 몰수를 국민청원으로 입법화할 것을 사회민주당에 촉구했다. 사회민주당은 이에 동의했고, 1926년 3월 국민청원 결과 1200만 표의 찬성표를 얻었지만, 6월 국회에서 거부되었다. 이후 국민투표에서 1560만 표의 찬성표를 얻었지만, 유권자 과반수에 미치지 못해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공산당은 (Reichslandbund)의 반대 운동에 맞서 농촌 지역으로 선전 활동을 확대했고, 이는 농촌 지역에 반공주의를 확산시켰다.[75]

제1조독일 공산당은 코민테른 독일 지부이며, 독일 공산당 코민테른 지부라고 칭한다.
제6조독일 공산당은 코민테른의 모든 지부와 마찬가지로 민주적 중앙집권주의(민주집중제) 원칙에 기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가항하급 및 상급 당 기관의 선거는 전당원 집회, 전국협의회, 그리고 당대회에서 이루어진다.
나항당 기관의 회계 보고는 그 선거에 앞서 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다항상급 기관의 결의에 대한 하급 기관의 승인 의무, 엄격한 당규율, 코민테른 중앙집행위원회 및 지도적 당 기관의 결의의 신속하고 확실한 이행. 그 활동이 특정 지역에 미치는 기관은 그 활동이 단지 이 지역의 개별 부분에 국한되는 기관에 대해 상급 기관으로 간주된다. 당 문제에 대한 논쟁은 당원에 의해 해당 기관의 결정이 있을 때까지 허용된다. 코민테른 대회, 당대회 또는 지도적 당 기관에 의해 결의가 이루어진 후에는, 이 결의는 당원의 일부 또는 지역적 당 기관의 일부가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도 무조건 실행되어야 한다.
제7조이상 상태 하에서는 하부 당 기관의 상부 당 기관에 의한 임명 또는 상급 당 기관의 승인에 의한 지도부의 자체 보충이 허용된다. 이 조치는 그럴 가능성이 있는 즉시, 나중에 기관에 제출하여 결의를 얻어야 한다.
제8조당 기관은 코민테른 및 당의 기존 결의의 틀 안에서 지역 문제에 있어서는 자주적이다.
제9조모든 기관의 최고 결정 기관은 당원 집회, 협의회 또는 당대회이다.
제10조전원 집회, 협의회 또는 당대회는 그 중간 기간의 지도 기관으로서 해당 기관의 일상 활동을 수행하는 해당 지도부를 선출한다.
제11조당 구성의 도식은 다음과 같다.
가항개별 공장, 작업장, 사무소, 상점, 농장, 시가지 등에 대해서는 세포 집회-세포 지도부.
나항소도시, 농촌 등의 지역에 대해서는 지역 세포 회의(농촌 세포 회의) 또는 지역 집회(농촌 집회)-지역 지도부.
다항시구 지역에 대해서는 시구 협의회-시구 지도부.
라항하위 지역에 대해서는 하위 지역 회의-하위 지역 지도부.
마항지역에 대해서는 지역 대회-지역 지도부.
바항전국에 대해서는 당대회-중앙위원회.
주: 경영 세포의 다음 상위 조직 단계는 세포 그룹이다. 시구의 크기에 따라 하나의 시구 안에 많은 세포 그룹이 있는 경우도 있다. 조직의 그 이상의 구분은 조직의 특수한 상황과 개별 지역의 특수한 상황에 따라 정비되어야 한다.
1925년 제10차 독일 공산당 대회 결정의 규약



제2조코민테른 및 공산당의 강령과 규약을 승인하고, 당의 기본적인 하부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여기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당내 코민테른의 모든 결의에 복종하고, 규칙적으로 당비를 납부하는 자는 당원이 될 수 있다.
제3조새로운 당원의 채용은 당 세포에 의해 이루어진다. 신규 채용은 도시 지역 지도부 또는 지역 지도부의 확인을 요한다.
제4조다른 정치 조직의 일정한 그룹 또는 정치 조직 전체가 공산당에 입당하고자 할 때에는 중앙위원회의 결의에 따른다.
제5조근무처를 변경할 때에는 사업장 세포 당원은 사업장 세포 지도부에 보고해야 할 의무를 진다. 거주지 변경 시에는 당원은 세포 그룹 지도부에 보고해야 할 의무를 갖는다. 다른 주로 이주할 때에는 당 중앙위원회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이에 관한 문의는 당 기관을 통해 이루어진다.
제42조당 규율 위반은 해당 당 조직 측에서의 벌칙을 수반한다. (중략) 개별 당원에게는 다음과 같은 벌칙이 적용된다. 당내 경고, 외부 경고, 활동 정지, 기간부 탈당, 최종 탈당.
제44조당원 탈당 문제는 해당 당 기관(세포)의 집회에 의해 상급 당 지도부에 제안된다. 탈당 결의는 지역 지도부가 승인한 후에 효력을 발생한다. 항소는 최고 기관까지 할 수 있다. 탈당 확인이 될 때까지, 해당자는 당 활동을 정지당한다. 탈당 결의는 일반적으로 당 기관지에 공표된다. 탈당한 자의 재입당은 탈당을 시행한 조직이 재입당을 인정할 때에만 할 수 있다.
제47조당비는 최저 평균 소득의 1%로 한다. (이하 생략)
제48조충분한 이유를 제시하지 않고 석 달 동안 당비를 납부하지 않는 당원은 경고를 해도 효과가 없을 때, 탈당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것은 당원 집회 및 해당 당원에게 통보된다.
1925년 제10차 독일 공산당 대회 결정의 규약



1924년 12월 독일 총선에서 활동하는 공산당원들


1929년 세계 대공황 이전 공산당원들은 주로 공장 노동자들이었다. 1927년 조사에 따르면 당원의 68%가 공장 노동자였으며, 이는 사회민주당보다 높은 비율이었다. 그러나 당원의 53%는 종업원 수 50명 이하의 중소기업에 속해 있었고, 종업원 수 1000명 이상의 대기업 소속 당원은 15%에 불과했다.[90]

1929년 세계 대공황으로 인해 실업자 당원이 급증하고, 기업 내 공산당원을 겨냥한 해고도 증가했다. 1931년 말에는 공장 노동자 당원은 21%에 불과했고, 실업자 당원은 78%에 달했다. 1932년 4월에는 실업자 비율이 85%까지 증가했다. 세계 대공황 이후 공산당은 "노동자당"이라기보다는 "실업자당"으로 변모했다. 이 시기 사회민주당은 비교적 풍족한 노동자를, 공산당은 최빈층 실업자를 지지 기반으로 삼았다. 다만 세계 대공황 이전부터 공산당에는 실업자가 많은 경향이 있었다.

공산당은 1931년까지 비고용인 당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는데, 이는 당의 중점이 기업 내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바이마르 공화국 말기에 비고용인 당원에 대한 조사를 시작한 것은 당의 중점이 더 이상 기업 내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인정한 셈이다. 다만 실업자 당원들은 대부분 25세에서 40세 사이로 취업 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아, 의식적으로는 자신을 "노동자"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바이마르 공화국 말기 공산당의 극좌 노선은 노동자보다 실업자를 끌어들였을 가능성이 있지만, 실업에서 곧바로 특정 정치적 행동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반론도 있다.

1932년 6월 베를린에서 시위를 벌이다 체포된 공산당원


공산당 당원들은 비교적 젊어서, 1927년 당시 30세 이하가 31.8%, 40세 이하가 63.5%였다. 반면 사회민주당은 당원 고령화가 심각하여 40세 이하 비율이 44.6%(1930년)에 불과했다. 국회의원 구성에서도 사회민주당 의원의 과반수가 50대 이상이었던 반면, 공산당 의원 중 50대 이상은 10% 미만이었다.

우익 정당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는데, 기존 우익 정당(국민민주당 등)은 당원이 고령화된 반면, 나치당은 젊은 당원이 많았다. 나치당은 당원의 69.9%가 40세 이하였다(1933년). 나치당은 25세 이하 청년층의 지지를 받았지만, 공산당은 25세 이하 청년층 조직에 어려움을 겪었다.

공산당 당원 중 여성 비율은 10%를 넘는 경우가 거의 없었으며, 가장 높았던 1929년 말에도 17%에 불과했다. 공산당은 "여성 해방"을 내걸었지만, 여성 노동자들 사이에서는 공산당에 대한 불안과 공포감이 강했다. 이는 해고에 대한 불안과 더불어, 공산당의 당 활동이 남성 중심적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공산당의 세력과 당원 구성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1929년 당시 27개 지역 당 중 8곳(베를린-브란덴부르크(Berlin-Brandenburg), 할레-메르제부르크(Provinz Halle-Merseburg), 연안 지역, 라인(Rhein) 하류, 에르츠 산지(Erzgebirge)=포크트란트(Vogtlandkreis), 루르(Ruhr), 서작센(Sachsen), 튀링겐(Thüringen))에 당원 3분의 2가 집중되어 있었다. 중부 독일과 라인-루르, 베를린, 함부르크와 같은 인구 밀집 공업 지역에 공산당원이 많았다.

공산당은 당원의 출입이 매우 잦았으며, 당 지도부는 끊임없는 당원 변동에 시달렸다. 1920년 공산당과 독립사회민주당 좌파 합당 당시 당원 36만 명 중 1927년까지 당에 남은 사람은 11%에 불과했다. 세계 대공황 이후 당원 변동은 더욱 심해졌다. 1930년 1월 당원 수는 13만 3000명이었지만, 같은 해 14만 3000명이 새로 입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연말 당원 수는 18만 명에 그쳤다.

공산당원은 당력이 짧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1930년 당원 중 당력이 1년 이상인 사람은 20%에 불과했다. 이는 당원이 비교적 장기간 재적하는 사회민주당과 큰 차이점이다.

탈당 이유 중 가장 많은 것은 "돈이 되지 않아서"였다. 이는 공산당 입당자 중 상당수가 경제적 사정 개선을 기대하고 입당했음을 의미한다. 나치당의 돌격대는 실업 중인 동지들에게 숙식과 급여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고, 공산당원 사이에서도 그러한 기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20년 12월 공산당과 독립사회민주당 좌파의 합당으로 약 30만 명의 독립사회민주당원이 공산당에 합류하면서, 공산당은 처음으로 대중 정당의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당원 수는 감소하고 정체되었다. 세계 대공황 이후 당원 수가 급증하여 1931년과 1932년에 이르러서야 20만 명 또는 30만 명에 도달했다.

공산당 당원 수 변천
날짜당원 수
1919년 3월9만 명
1920년 3월5만 명
1920년 10월7만 8천 명
1921년 3월35만 9천 명
1922년 3월38만 명
1923년 말26만 7천 명
1924년 3월18만 명
1924년 말18만 명
1927년 1월15만 명
1928년 말13만 명
1930년 1월13만 3천 명
1930년 9월12만 명
1930년 말18만 명
1931년 초20만 명
1932년 11월36만 명[63]


7. 이념 및 평가

독일 공산당은 제1차 세계 대전독일 사회민주당(SPD)의 전쟁 지지 방침에 반발한 칼 리프크네히트와 로자 룩셈부르크 등이 창설한 스파르타쿠스단을 기원으로 한다. 독일 혁명에서 스파르타쿠스단이 혁명 선동을 시작했지만, 사회민주당 정권과 대립하여 스파르타쿠스단 봉기를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리프크네히트와 룩셈부르크가 학살당한 후, 파울 레비가 당을 이끌었고, 코민테른에 가입했다. 1920년에는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 좌파와 합쳐 Vereinigte Kommunistische Partei Deutschlandsde(VKPD)로 개명했다가, 다음 해에 “독일 공산당”으로 돌아왔다.

Heinrich Brandlerde가 당의 지도자가 된 후, 1921년 3월, 코민테른의 지시를 받아 Märzkämpfe in Mitteldeutschlandde를 일으켰지만 실패했다. 1923년 가을 코민테른이 다시 폭력 혁명 노선으로 돌아섰기 때문에, 브란트러는 1923년 10월에 작센주튀링겐주의 사회민주당 좌파 정권에 공산당원을 입각시키면서, 그곳을 거점으로 혁명 군사 행동을 시작하려고 했지만, 중앙 정부가 보낸 군대에 진압되어 실패했다.

이후 루트 피셔와 Arkadi Maslowde 등 당내 좌파를 중심으로 한 지도부가 발족했으나, 소련의 요시프 스탈린과의 갈등으로 1925년 가을에 실각했다. 그 뒤를 이어 스탈린에게 충실한 친코민테른 좌파 에른스트 텔만이 당의 지도자가 되었다.

스탈린주의에 기반한 당 지도를 행한 에른스트 텔만


텔만은 1928년 스탈린이 니콜라이 부하린우익과의 투쟁을 시작하면서 코민테른과 함께 좌경화되었다. 스탈린과 텔만은 당내 우파를 숙청하여 1929년 6월 당 대회를 통해 당의 스탈린주의화를 완성했고, 더 이상 어떤 반대파도 당내에 존재하지 못하게 했다. 또한 당의 극좌화로 “사회 파시즘론”에 기초한 사회민주당 배척을 강화하고,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나치)와도 공투하게 되었다.

1929년 세계 대공황 이후, 공산당은 급속도로 지지를 확대하여 국회 선거에서 승리, 나치와 사회민주당에 이은 제3당의 지위를 확립했지만, 1933년 1월 히틀러 내각 성립 후 금지되어 지하로 잠복했다.

1926년과 1927년에 독일 공산당 내부에서 파벌 간의 항쟁이 격화되었다. 1928년부터 1929년까지 스탈린주의화 과정에서 여러 분파가 당에서 축출되고 스탈린주의에 의한 일원 지배가 확립되었으나, 그 이전까지 독일 공산당 내에는 다음과 같은 파벌이 존재하였다.

파벌설명
우파브란트러, 탈하이머, 프뢰리히 등을 중심으로 "통일전선 전술"을 중시했으며 1923년까지 당 지도부를 장악했다. 1924년 이후 당 기관에서 축출되어 약화되었고, 1928년부터 1929년에 거의 모든 우파가 당에서 추방되었다. 추방 후 Kommunistische Partei-Oppositionde(KPD-O)로 결집하였다.
조정파우파와 좌파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은 에른스트 마이어가 이끈 중도파 파벌. 에벨라인, Arthur Ewertde, Gerhart Eislerde 등이 속했다. 1924년부터 1925년까지 피셔 지도부에 반대했고, 1926년부터 1928년까지는 탈만 등 친코민테른 좌파와 연계하여 당 지도부를 차지했으나, 부하린과 결탁하여 1928년부터 1929년에 걸쳐 당에서 추방되었다. 1930년 마이어의 사후 지도부에 복종했다(일부는 당 내에서 비공개 활동을 지속).
좌파1924년 피셔, 마즐로, 탈만, 쇼렘 등을 중심으로 브란트러 반대파로 생겨났다. 1924년부터 1925년까지 당 지도부를 장악했으나, 1925년 봄 쇼렘 등 극좌파가 분리되었고, 같은 해 가을 친코민테른 좌파(탈만, 덴겔, 게슈케, 슈넬러)와 새로운 좌익 반대파(피셔, 마즐로, Paul Schlechtde 등)로 분열되었다. 좌익 반대파를 Leninbundde로 결집하려는 시도는 실패했고, 해당 파벌은 하나의 분파로 존속했다.
극좌파쇼렘, Iwan Katzde, 알투르 로젠베르크 등을 중심으로 1925년 좌파에서 분열하여 생겨났다. 여러 의견의 파벌로 더욱 분열하여 당에서 축출되었고, 1928년까지는 영향력을 상실했다. 1929년 이후에는 당 자체가 극좌 노선을 채택하게 되어 존재 의의를 상실했다.
당 기관원전속 당직자는 특정한 경향에 동조하지 않고, 당시의 지배적 분파에 따랐다. 특히 "전문가"(국회의원, 지방의원, 선전부원, 농업 전문가 등)는 각종 분파 활동에 휘말리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중요 직책에 있으면서도 배후에서만 활동한 당 간부 발터 울브리히트, Franz Dahlemde 등이 해당된다. 이 "전문가"들이 친코민테른 좌파와 결탁함으로써 당의 스탈린주의화가 촉진되었다.



오시프 K. 플레히트하임은 1925년경부터 확립된 공산당의 공산주의적 신조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 모든 역사는 계급 투쟁의 역사이다. 현재는 자본가와 프롤레타리아가 대립하고 있으며, 독점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시대에는 혁명과 내란으로 이어지는 것은 불가피하다.
  • 국가는 항상 계급 국가이며, 민주주의 공화국도 자본주의 독재의 한 형태이다. 사회주의 수립은 부르주아적 국가 기구의 파괴를 전제로 하며, 프롤레타리아 국가는 혁명적 폭력에 의해서만 건설될 수 있다.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공산당이 지도하는 국가에서 구현되며, 부르주아 민주주의보다 고차원적인 민주주의의 형태이다.
  • 공산당은 유일하게 진정한 프롤레타리아적, 사회주의적, 마르크스주의적 정당이다. 인류의 가장 진보적인 계급의 전위로서 공산당은 프롤레타리아적 계급 의식의 유일한 담당자이다. 최고의 인식은 당의 최고 지도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당의 최고 지도부는 오류를 범하지 않는다.
  • 진정한 사회주의의 가장 본질적인 표식은 공산당이 통치하는 국가에서의 생산 수단의 국유화이다. 공산당 지도부는 착취의 소멸과 계급 없는 사회로의 발전을 보장한다.
  • 소련은 유일한 사회주의 사회이며, 세계 자본주의의 위협을 항상 받고 있다. 세계 노동 계급을 “전 근로 대중의 사회주의적 조국”의 방위를 위해 동원하는 것은 모든 국가 공산주의자들의 임무이다.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의 투쟁은 다가올 수년 또는 수십 년 안에 세계적 규모로 결정될 것이다. 역사의 불변의 법칙에 따라 일련의 유혈 내란, 혁명, 봉기 및 국제 전쟁 속에서 제국주의적 부르주아지의 지배는 지구 전역에서 타도되고, 공산당의 지배에 의해 해체될 것이다. 이 과정의 종국에 소비에트 러시아가 사회주의 세계 레테(소비에트) 공화국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것은 명백하다.


공산당은 스스로를 "유일한 노동자당"이라 자칭하며 노동계급의 다수를 자당 아래에 두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이는 공산당이 노동자의 소수파만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바이마르 공화국 말기에는 공산당 당원의 대다수가 실업자였고, 경영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극소수였다.

선거 결과를 보면 공산당에 투표한 계층은 명백히 노동계급의 범위를 넘어선다. 공산당에도 포괄 정당의 측면이 있었다. 1932년 지그문트 노이만은 공산당의 성격에 대해 그 독재적 체질과 계급을 초월한 불만 계층을 포괄하는 측면에서 나치당과 함께 "절대주의적 통합 정당"으로 분류했다.

프레히트하임은 독일 공산당이 다른 나라 공산당과 달리 10월 혁명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전쟁으로 인한 독일의 국내 상황으로부터 독자적으로 탄생했기 때문에 모스크바로부터 독립된 입장을 취할 수 있었다고 지적한다. 그는 "결당 직후 칼 리프크네히트, 로자 룩셈부르크, 레오 요기헤스의 비극적인 죽음은 독일 공산당의 발전을 결정적으로 바꿔 놓았다. 그들의 죽음이 피할 수 있었다면, 독일 공산당은 코민테른에 예속되는 당이 되지 않았을 것이고, 룩셈부르크주의의 발전의 기초로서 프롤레타리아 대중의 자발성을 중시하면서 바이마르 체제 내에서 자주적이고 현실적인 정책을 추진했을 것이다"라고 하며 로자 룩셈부르크의 죽음을 애석해하고 있다.

공산당은 자당을 제외한 모든 정당을 공격했다. 1930년에는 “공산당을 제외한 모든 당은 연립 정당, 정부 정당, 각료 정당이다. 우리 공산주의자만이 부르주아와의 모든 공동에 반대하며, 현재의 자본주의적 사회 질서의 혁명에 의한 타도, 지배 계급의 모든 권리와 특권의 폐지, 모든 착취의 폐지를 찬성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특히 독일 사회민주당(SPD)과 나치당(NSDAP)과는 노동 계급의 이익을 둘러싸고 격렬한 경쟁 관계에 있었으며, 이데올로기뿐만 아니라 경영 및 거리에서의 노동자와 실업자 조직에서도 격렬하게 대립했다.

공산당은 자신들을 부르주아와 “부르주아적 노동자당, 노동 관료, 노동 귀족”(사민당)에 대항하는 유일한 프로레타리아 정당이라고 자칭했지만, 사민당은 이러한 악선전에 대항하여 공산당을 “실업자, 몰락자, 파산자, 룸펜프롤레타리아트의 당, 또는 도시 암흑가 주민의 당”이라고 비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peeches at the First Congress of the Communist International March 1919 http://www.marxists.[...]
[2] 서적 A History of Germany 1918 – 2014: The Divided N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3] PhD "Die Junge Garde des Proletariats" Untersuchungen zum Kommunistischen Jungendverband Deutschlands in der Weimarer Republik. http://bieson.ub.uni[...] 2005-00-00
[4] 서적 Der rote Frontkämpferbund 1924–1929 Droste
[4] 서적 Beating the Fascists?: The German Communists and Political Violence 1929-1933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Kampfbünde der Arbeiterbewegung: das Reichsbanner Schwarz-Rot-Gold und der Rote Frontkämpferbund in Sachsen 1924-1933 https://books.google[...] Böhlau Verlag Köln Weimar
[4] 웹사이트 Gerade auf LeMO gesehen: LeMO Kapitel: Weimarer Republik https://www.dhm.de/l[...]
[4] 웹사이트 Roter Frontkämpferbund, 1924-1929 https://www.historis[...]
[4] 서적 Weimar Radicals: Nazis and Communists between Authenticity and Performance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5] 서적 The last revolutionaries: German communists and their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6] 서적 Color Design Workbook: A Real World Guide to Using Color in Graphic Design https://archive.org/[...] Rockport Publishers
[7] 서적 In Stalins Gefolgschaft: Moskau und die KPD 1928–1933 Oldenbourg Verlag
[8] 서적 Opposition and Resistance in Nazi Germany https://libcom.org/f[...]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9-06
[9]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Mehring Books
[10] 서적 Creating German Communism, 1890-1990: From Popular Protests to Socialist Stat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서적 Die Innenpolitik der DDR http://dx.doi.org/10[...]
[12] 서적 Rosa Luxemburg Oxford U.P
[13] 서적 Weimar Communism as Mass Movement 1918–1933 Lawrence & Wishart
[14] 서적 The Spartakusbund and the German working class movement, 1914–1919 https://archive.org/[...] Edwin Mellen Press
[15] 웹사이트 How the left enabled fascism https://www.newstate[...] 2018-10-03
[16]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Mehring Books
[17] 서적 Weimar Communism as Mass Movement 1918–1933 Lawrence & Wishart
[18] 웹사이트 A Son of His Class https://jacobinmag.c[...] 2012-06-17
[19] 서적 German Communism, Workers' Protest, and Labor Unions Springer Netherlands
[20] 학술지 Paul Levi and the Origins of the United-Front Policy in the Communist International https://philarchive.[...] Brill 2017-04-03
[21] 서적 Communism in Germany under the Weimar republic Macmillan
[22] 학술지 'March Separately, But Strike Together!' The Communist Party's United-Front Policy in the Weimar Republic Brill 2020-04-30
[23] 서적 A History of Public Law in Germany, 1914–1945 Oxford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Kampf um die Republik 1919–1923 https://www.bpb.de/t[...] 2011-12-23
[25] 서적 Parteien und Presse in Rheinland-Pfalz 1945–1971: ein Beitrag zur Mediengeschichte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Mainzer SPD-Zeitung 'Die Freiheit' v. Hase & Koehler Verlag
[26] 학술지 Kings among their subjects'? Ernst Thälmann, Harry Pollitt and the leadership cult as Stalinization https://www.research[...] Palgrave Macmillan Ltd
[27] 웹사이트 How the left enabled fascism https://www.newstate[...] 2018-10-03
[28] 서적 German Writers and Politics 1918–39 Palgrave Macmillan UK
[29] 학술지 "Germany's Eternal Son:" the Genesis of the Ernst Thälmann Myth, 1930–1950 http://www.jstor.org[...] German Studies Associati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0] 학술지 Entering a Theoretical Void: The Theory of Social Fascism and Stalinism in the German Communist Party
[31] 서적 The Coming of the Third Reich Penguin
[32] 서적 Antifaschisten in "antifaschistischer" Gewalt: mittel- und ostdeutsche Schicksale in den Auseinandersetzungen zwischen Demokratie und Diktatur (1945 bis 1961) A. Peter
[33] 웹사이트 Ernst Thälmann: Nationale und soziale Befreiung (1930) https://www.marxists[...]
[34] 서적 Beyond Party Members: Changing Approaches to Partisan Mobilization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Germany: From Revolution to Counter-Revolution http://www.marxist.c[...] Fortress Books
[36] 논문 Die nationalsozialistischen Bäume im sozialdemokratischen Wald: Die KPD im antifaschistischen Zweifrontenkrieg (Teil 2)
[37] 웹사이트 Hitler wasn't inevitable https://www.jacobinm[...] 2015-11-25
[38] 웹사이트 Texte zum Klassenkampf/ Ernst Thälmann: Wie schaffen wir die rote Einheitsfront? http://www.marxistis[...] 2021-12-27
[39] 웹사이트 80 Jahre Antifaschistische Aktion http://antifaeu.blog[...] Verein zur Förderung Antifaschistischer Kultur 2019-06-25
[40] 논문 SPD und KPD in der Endphase der Weimarer Republik https://www.ifz-muen[...] Institut für Zeitgeschichte 2023-11-28
[41] 논문 SPD und KPD in der Endphase der Weimarer Republik https://www.ifz-muen[...] Institut für Zeitgeschichte 2023-11-28
[42] 서적 The Coming of the Third Reich Penguin Press 2003
[43] 서적 The Great Terror
[44] 서적 Creating German Communism, 1890–1990: From Popular Protests to Socialist Sta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45] 서적 Red Flag: A History of Communism Grove Press 2009
[46] 간행물 Beschluss vom 31. Mai 1946 der Alliierten Stadtkommandantur: In allen vier Sektoren der ehemaligen Reichshauptstadt werden die 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 und die neugegründete Sozialistische Einheitspartei Deutschlands zugelassen.
[47] 서적 Ostberliner Sozialdemokraten in den frühen fünfziger Jahren
[48] 서적 The Russians in Germany: A History of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1945–1949 Belknap Press 1995
[49] 서적 The Berlin Wall : a world divided, 1961–1989 https://www.worldcat[...] HarperCollins 2006
[50] 서적 Politischer Extremismus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Eine Einführung.
[51] 서적 Die Sozialistische Einheitspartei Westberlins. Untersuchung der Steuerung der SEW durch die SED. kassel university press 2011
[52] 서적 Deutsche Geschichte. Compact Verlag 2008
[53] 서적 Zwischen Kontinuität und Fremdbestimmung. Mohr Siebeck 1996
[54] 서적 The German Revolution: 1917–1923 Haymarket Books 2006
[55] 서적 The German Revolution: 1917–1923 Haymarket Books 2006
[56] 서적 The German Revolution: 1917–1923 Haymarket Books 2006
[57] 서적 The German Revolution: 1917–1923 Haymarket Books 2006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The last revolutionaries: German communists and their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논문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서적 武器としての宣伝 柏書房
[78] 논문
[79] 웹사이트 Wahlen in der Weimarer Republik website http://www.gonschior[...] Gonschior.de 2018-07-20
[80] 논문
[81] 논문
[82]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worldwide extremists and extremist group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86] 간행물 Verfassungsschutzbericht 2016 https://www.verfassu[...] 2018-01-15
[87] 간행물 Verfassungsschutzbericht des Landes Nordrhein-Westfalen über das Jahr 2016 https://www.mik.nrw.[...] 2018-01-15
[88] 뉴스 Genossin Margot Honecker gestorben http://www.k-p-d-onl[...] KPD 2016-05-07
[89] 웹사이트 Glossar: Kommunistische Partei Deutschlands (KPD) http://www.verfassun[...] Landesamt für Verfassungsschutz Brandenburg 2014-07-07
[90] 논문
[91] 논문 ワイマール憲法下における選挙制定の歴史的考察 https://chukyo-u.rep[...] 中京大学 2018-05-29
[92] 웹사이트 主要国の各種法定年齢 選挙権年齢・成人年齢引下げの経緯を中心に http://www.ndl.go.jp[...] 2018-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